전체메뉴
메뉴닫기
흥례문

자, 지금 도착하신 곳은 흥례문입니다. 흥례문 앞에서는 궁을 지키는 수문장들이 임무를 교대하는 의식을 했지요. 야간에는 상대방을 확인하기 위해 암호를 주고 받았는데, 임금이 친히 암호를 정합니다. 암호는 매일 바뀌었지요. 지금도 경복궁이 열리는 시간 매 정시 수문장 교대식을 볼 수 있으니 놓치지 마세요. 흥례문에는 가슴 아픈 사연도 있습니다. 일본이 조선을 지배했을 때 흥례문을 없애버리고 이 자리에 조선총독부 건물을 세웠지요. 광복이 되고 나서도 조선총독부 건물은 그대로 이 자리에 있었고 정부청사로도, 박물관으로도 사용되었습니다. 1995년, 마침내 우리 정부는 조선총독부 건물을 허물고 흥례문을 복원하였습니다. 이 문에는 민족적 자존심을 되찾으려는 우리 국민의 의지가 담겨 있습니다.

상세정보

  • 흥례문 현판

    흥례문 현판

    흥례문 현판

    경복궁의 공식적인 정문은 광화문입니다. 그런데 사실 진짜 정문은 이곳 흥례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광화문은 다양한 사람들이 비교적 쉽게 들어올 수 있었지만 흥례문에서는 반드시 호패, 즉 조선시대의 신분증을 보이고야 들어갈 수 있었으니까요.

    닫기
  • 흥례문 답도

    흥례문 답도

    흥례문 답도

    답도는 전각으로 이어지는 어도의 계단에 비스듬한 돌 판입니다. 덕수궁을 제외한 나머지 4곳의 궁궐(경복궁, 창덕궁, 창경궁, 경희궁)의 답도에는 봉황이 각각 조각되어 있습니다. 봉황은 임금이 통치를 잘 하여 태평세월이 되면 이 세상에 나타난다는 상상의 새입니다. 즉, 임금이 이동하는 길마다 봉황을 새긴 답도를 놓은 이유는 당대에 봉황이 나타나는 태평성대를 이루어 보라는 의미를 담은 것입니다.

    닫기

동영상

페이지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