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메뉴닫기
보도자료 내용
제목 독일로 간 우리 문화유산, 책으로 다시 돌아오다
작성자 문화재청 작성일 2017-12-11
주관부서 국립문화재연구소 조회수 3480
첨부파일 1211 독일로 간 우리 문화유산, 책으로 다시 돌아오다(붙임).pdf pdf파일 다운로드
1211 독일로 간 우리 문화유산, 책으로 다시 돌아오다(본문).hwp hwp파일 다운로드

- 독일 함부르크민족학박물관, 함부르크미술공예박물관 소장 한국문화재 조사보고서 2종 발간 -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소장 최맹식)는 독일 함부르크민족학박물관(Museum für Völkerkunde Hamburg, 관장 바바라 플랭켄슈타이너)과 함부르크미술공예박물관(Museum für Kunst und Gewerbe Hamburg, 관장 사비네 슐츠)이 소장한 한국문화재의 조사‧연구 내용을 조사보고서 2종으로 발간하였다.
  * 『독일 함부르크민족학박물관 소장 한국문화재』, 『독일 함부르크미술공예박물관 소장 한국문화재』

 

  독일 함부르크민족학박물관과 함부르크미술공예박물관은 당시 독일주재 조선총영사였던 마이어(H.C. Eduard Meyer, 1841~1926)와의 인연을 통해 다양한 유물들을 19세기부터 소장하였으며 지금까지도 다방면의 수집과 기증을 통해 현재까지 2천여 점에 달하는 한국유물을 소장하고 있다.

 

  『독일 함부르크민족학박물관 소장 한국문화재』에 소개된 다수의 유물들은 틸레니우스 초대관장이 직접 물품 목록을 작성하여 마이어 씨를 통해 수집한 것이다. 그는 특히 한국을 모자로 신분을 나타내는 유일한 나라로 이해하여 다양하고도 특이한 한국 모자를 수집하였다. 군뢰복다기, 진현관(進賢冠, 음악인이 착용하는 모자), 송낙(소나무 겨우살이(송라)를 엮어 만든 승려의 모자) 등과 서양 모자의 형태가 결합된 독특한 유물들은 현재 한국에서 찾아보기 어려운 희귀한 것들이다.
  * 군뢰복다기(軍牢-복다기): 군뢰(군대에서 죄인을 다루는 병졸)가 군장(軍裝)을 할 때 쓰던 갓

 

  궁중무용복인 몽두리(蒙頭里)와 사용계층의 추정이 가능한 투구‧갑옷, 대동여지도 등 중요한 유물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 또한, 지금은 직조 기술(기계나 베틀로 직물을 짜는 기술)이 전해지지 않아 재현할 수 없는 직물의 견본들도 확인할 수 있다.
  * 몽두리(蒙頭里): 궁중 행사에서 여령(女伶)이 무복으로 착용한 포 형식의 겉옷

 

  또한, 『독일 함부르크미술공예박물관 소장 한국문화재』는 함부르크미술공예박물관이 120여 년간 수집해온 우리 문화재에 대해 지난해 국립문화재연구소가 현지 조사한 내용을 담고 있으며 19세기에 제작한 도자 유물과 회화 작품들이 다수 수록되어 주목된다.

 

  함부르크미술공예박물관이 1896년 입수 이후 한 번도 공개한 적 없던 낙화(烙畵, 불에 지진 인두로 그리는 그림) 등의 사진과 설명도 담겨 있고, 세계적으로 3점만 전해지고 있는 고려 시대 주자인 ‘청자동화연판문표형주자’의 보존처리에 대한 원고도 함께 수록되었다.

 

  이번에 발간한 2종의 보고서는 국립문화재연구소가 1992년부터 시작해 25년간 진행해온 <국외소재 한국문화재 조사> 사업의 마지막 보고서로 그동안 국립문화재연구소는 총 58개 국외박물관의 조사를 시행하고 모두 36권의 조사보고서를 발간하였다. 이 사업을 통해 해외 협력‧연구의 방향성과 방법론을 제시하였으며 앞으로 국립문화재연구소가 추진할 다양한 국제 협력 프로그램들이 순조롭게 진행될 수 있는 밑거름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는 25년간 국외소재 한국문화재 조사사업의 결과들을 연구소 누리집(http://portal.nrich.go.kr)에 제공하고 있다. 앞으로도 책임운영기관으로서 우리 문화유산에 관한 다양한 연구결과를 꾸준히 제공하여 국민 누구나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다.

<<『함부르크미술공예박물관 소장 한국문화재』(왼쪽), 
『독일 함부르크민족학박물관 소장 한국문화재』(오른쪽) 조사보고서>

..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더 자세한 내용 설명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국립문화재연구소 미술문화재연구실 박대남 실장(☎042-860-9190), 박지영 연구사(☎042-860-9195)에게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전글,다음글
이전글 이전글 제12차 무형유산보호협약 정부간위원회, 제주에서 성공적인 마무리
다음글 다음글 섬유 15년, 한 올의 실이 역사가 됩니다
트위터 페이스북 구글

 

페이지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