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유네스코 등재유산

종묘제례 및 종묘제례악

종묘제례 및 종묘제례악 종묘제례 및 종묘제례악

종묘제례란 조선시대 역대 왕과 왕비의 신위를 모셔 놓은 사당(종묘)에서 지내는 제사를 가리키며, 󰡐대제(大祭)󰡑라고도 부른다. 종묘는 사직과 더불어 조선시대에는 국가 존립의 근본이 되는 중요한 상징물이었으며, 정전(19실)과 영녕전(16실)이 있다.

종묘제례는 정시제와 임시제로 나뉜다. 정시제는 4계절의 첫 번째 달인 1월, 4월, 7월, 10월에 지냈고, 임시제는 나라에 좋은 일과 나쁜 일이 있을 때 지냈으나, 해방 이후 5월 첫째 주 일요일에 한 번만 지내고 있다. 제사를 지내는 예법이나 예절에 있어서 모범이 되는 의식인 만큼 순서와 절차는 엄격하고 장엄하게 진행된다.

종묘제례 및 종묘제례악

제례는 크게 신을 모셔와 즐겁게 하고 보내드리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절차를 보면 선행절차 →취위(就位) →영신(迎神) →행신나례(行晨裸禮) →진찬(進饌) →초헌례(初獻禮) →아헌례(亞獻禮) →종헌례(終獻禮) →음복례(飮福禮) →철변두(撤변豆) →망료(望僚) →제후처리(祭後處理)의 순서로 진행되며, 종묘제례가 있기 전 왕은 4일간 근신하고 3일간 몸을 깨끗하게 한다. 종묘제례는 유교 사회에 있어 예(禮)를 소중히 여긴 조상들에게 기준이 된 귀중한 의식으로 웅장함과 엄숙함이 돋보인다.

종묘제례 및 종묘제례악

종묘제례악은 본래 세종 17년(1435) 때 궁중연회에 사용하기 위해 창작되었으며 세조 10년(1464) 제사에 적합하게 바뀌었고, 이후 종묘제례의 음악으로 전승되고 있다. 종묘제례악은 해마다 5월 첫째 주 일요일에 행하는 종묘대제에서 보태평 11곡과 정대업 11곡이 연주되고 있다

종묘제례악은 조선시대의 기악연주와 노래, 춤이 어우러진 궁중음악의 정수로서 우리의 문화적 전통과 특성이 잘 나타나 있으면서도 외국에서는 볼 수 없는 독특한 멋과 아름다움을 지니고 있다.

1975년 종묘제례와 1964년 종묘제례악이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보존·전승되고 있다.
2001년 '인류구전 및 무형유산 걸작'으로 선정되었으며,
2008년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대표목록'으로 등재*되었다.

* 인류구전 및 무형유산 걸작 유산의 인류무형유산 대표목록 통합 (유네스코 무형유산보호협약 운영지침 I.16조)

이용가이드 이미지1-방문인증 가능한 문화유산 찾기
이용가이드 이미지2-방문인증 가능한 문화유산 찾기 결과
이용가이드 이미지3-문화유산 방문 인증하기 첫번째
이용가이드 이미지4-문화유산 방문 인증하기 두번째
이용가이드 이미지5-문화유산 방문후기 작성
이용가이드 이미지6-문화유산 일괄 방문인증 첫번째
이용가이드 이미지7-문화유산 일괄 방문인증 두번째
이용가이드 이미지8-문화유산 방문 캠페인 스탬프 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