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주 천전리 각석 (蔚州 川前里 刻石)
국보 제147호
울산 울주군 두동면 천전리 산210-2
천전리 각석은 대곡천이 U자형으로 휘감아 들어가는 지형에 병풍처럼 서 있는 길이 9.5m, 높이 2.7m의 바위에 새겨져 있다. 암각화가 있는 바위면 앞에는 약간의 평지가 단을 이루어 의식을 치를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어 있다. 이는 1970년 12월 동국대학교 불교유적조사대에 의해 발견되었다.
이어 1971년 4-5월과 11월 2차례에 걸쳐 조사됨으로써 세상에 알려졌다. 천전리 각석은 크게 윗부분과 아랫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윗부분은 청동기 시대의 것으로 기하학 무늬와 인물상, 동물상이 그려져 있다. 그리고 아랫부분은 신라시대의 것으로 선각(線刻)그림과 명문이 새겨져 있다. 그림은 기마행렬도ㆍ동물ㆍ용ㆍ배 등 다양한 모양이 새겨져 있다.
또한 명문은 신라시대 왕족과 귀족들의 동향을 알 수 있는 내용이 들어있기 때문에, 이로 인해 천전리 서석(書石)이라 부르기도 한다.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국보 제285호)와 약 2km 정도 떨어져 있으며, 주변에서 발견된 신석기시대 이후의 유적들과 관련해서 주목된다. 암각화가 있는 바위면 동쪽으로 높은 산봉우리가 가로막고 있기 때문에 햇빛이 비치는 시간을 이용하면 보다 선명하게 볼 수 있다. 국보 제147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