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유산 관람안내

길찾기 레이어팝업 열기

창릉

예종(睿宗) 이야기

예종(재세 : 1450년 음력 1월 1일 ~ 1469년 음력 11월 28일, 재위 : 1468년 음력 9월 7일 ~ 1469년 음력 11월 28일)은 세조와 정희왕후 윤씨의 둘째 아들로 1450년(세종 32)에 수양대군 사저에서 태어났다. 세조가 왕위에 오른 후 해양대군(海陽大君)에 봉해졌고, 형인 의경세자(추존 덕종)가 20세의 나이로 일찍 세상을 떠나자 1457년(세조 3)에 왕세자로 책봉되었다. 1468년(세조 14)에 세조의 선위를 받아 왕위에 올랐다. 즉위 초에 남이의 옥사를 진압하였으며, 1469년(예종 1)에는 세종의 영릉(英陵)을 여주로 천장하였다. 그러나 재위 1년 2개월 만에 경복궁 자미당에서 20세로 세상을 떠났다.
예종은 효성이 지극했던 아들이었다. 조선 후기의 학자 이긍익이 지은 야사모음집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에는 예종이 부왕 세조가 세상을 떠난 것에 충격을 받아 건강을 해쳤다며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예종이 세자일 때 세조가 병환이 생기니 수라상을 보살피고 약을 먼저 맛보며 밤낮으로 곁을 지키며 한잠도 못 잔 지가 여러 달이 되었다. 세조가 돌아가매 슬픔이 지나쳐 한 모금의 물도 마시지 않았으므로 마침내 건강을 해치게 되어 이 해 겨울에 세상을 떠나게 되었다.

안순왕후(安順王后) 이야기

예종의 두 번째 왕비 안순왕후 한씨(재세 : ?년 음력 3월 12일 ~ 1498년 음력 12월 23일)는 본관이 청주인 청천부원군 한백륜과 서하부부인 임씨의 딸로 태어났다. 1463년(세조 9)에 왕세자의 후궁인 소훈(昭訓, 내명부 세자궁 종5품)에 간택되었고, 예종이 즉위하자 왕비로 책봉되었다. 예종이 세상을 떠난 후 원자인 제안대군이 왕위를 이어받는 것이 원칙이었으나, 나이가 어렸기 때문에 왕위에 오르지 못하고 의경세자의 둘째 아들인 자산군(성종)이 예종의 양자로 입적되어 왕위에 올랐다. 성종이 즉위한 후 인혜왕대비가 되었고, 연산군 즉위 후 대왕대비가 되었다. 그 후 1498년(연산군 4)에 창경궁에서 세상을 떠났다.

이용가이드 이미지1-방문인증 가능한 문화유산 찾기
이용가이드 이미지2-방문인증 가능한 문화유산 찾기 결과
이용가이드 이미지3-문화유산 방문 인증하기 첫번째
이용가이드 이미지4-문화유산 방문 인증하기 두번째
이용가이드 이미지5-문화유산 방문후기 작성
이용가이드 이미지6-문화유산 일괄 방문인증 첫번째
이용가이드 이미지7-문화유산 일괄 방문인증 두번째
이용가이드 이미지8-문화유산 방문 캠페인 스탬프 이벤트